티스토리 뷰
목차
직장을 그만두고 가게를 열고 싶지만, 자금도 부족하고 대출은 어렵기만 합니다.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창업 아이디어만 품은 채 수개월을 보내는 분들도 많습니다. 실제로 예비창업자 10명 중 7명은 ‘정보 부족’을 창업의 가장 큰 걸림돌로 느낀다고 합니다.
이런 상황에서 준비만 하다 시간이 흘러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아이템은 괜찮은데 사업화 방법이 막막하고, 실수할까 두려워 계속 리서치만 하게 되는 현실. 2025년 정부에서는 예비창업자들이 안정적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지원하는 다양한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무이자 대출부터 창업교육, 전문가 멘토링, 사업화 자금까지 창업을 준비 중인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정리했습니다.
예비창업자를 위한 2025 정부지원 프로그램 총정리
1. 예비창업패키지 (사업화 자금 + 창업교육)
- 지원 대상: 만 39세 이하 청년 또는 예비창업자 (사업자 등록 전)
- 지원 내용: 창업교육(40시간 이상), 사업화 자금 최대 1,000만 원, 전문가 멘토링
- 신청 방법: 창업넷 → 교육 수강 → 패키지 신청 → 사업계획서 심사
2. 소상공인 창업 성공패키지 (전 국민 대상)
- 지원 대상: 일반 국민 누구나 (업종 전환 희망자 포함)
- 지원 내용: 창업 맞춤형 교육 + 사업자금 최대 2,000만 원 (심사기반)
- 신청 방법: 소상공인진흥공단 홈페이지 → 창업성공패키지 지원사업 신청
3. 무이자 창업자금 (정책자금 대출)
- 지원 대상: 사업자 등록 예정자 또는 초기 창업자
- 지원 내용: 무이자 또는 저금리(2% 내외) 정책자금 대출 최대 5천만 원
- 신청 방법: 소상공인정책자금 사이트 → 온라인 접수 → 지역센터 상담 → 대출 실행
4. 창업 컨설팅 지원 (멘토링 + 아이템 검증)
- 지원 대상: 창업 아이템 보유자, 사업계획서 작성 희망자
- 지원 내용: 1:1 멘토링, 유망아이템 검증, 시장조사 분석 지원
- 신청 방법: 소진공 지역센터, 창업보육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
5. 창업 사전 준비자 특별 교육 (소상공인 아카데미)
- 지원 대상: 창업 준비 중이거나 업종을 정하지 못한 예비창업자
- 지원 내용: 온라인/오프라인 창업 입문 교육, 마케팅 실습, 세무 기초 등
- 신청 방법: 소상공인아카데미 사이트에서 신청
이러한 프로그램은 대부분 선착순으로 진행되며, 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선정 결과가 갈리기도 합니다. 특히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, 마감 이후에는 연내 추가 신청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. 지금 준비해야 올해 안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.
머뭇거리는 사이 누군가는 먼저 움직입니다. 창업은 아이디어보다 실행력이 중요합니다. 지금 바로 창업넷과 소상공인 아카데미에 접속해 나에게 맞는 과정을 등록하고, 오늘부터 창업의 첫 발을 내디뎌 보세요. 당신의 창업은 선택이 아닌, 준비에서 시작됩니다.